티스토리 뷰

반응형

9월19일 아시아 현물시장에서 거래된 D램 현물 가격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나타냈으며, 낸드플래시메모리가격도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입니다.



 D램 평균가격을 나타내는 DXI 지수는 56.07포인트(+0.73%) 상승한 7701.83을 기록했습니다. DDR4 8Gb 1Gx8 2133 MHZ 3.825(+0.71%) DDR4 4Gb 512Mx8 2133 MHz 1.873(+0.54%) DDR3 4Gb 512Mx8 1333/1600MHz 1.798(+0.50%) DDR3 4Gb 512Mx8 eTT 1.585(+0.96%) DDR3 4Gb 256Mx16 1333/1600MHz 1.720(+0.82%) DDR3 2Gb 256Mx8 1333/1600MHz 1.105(+0.46%) 64Gb 8Gx8 MLC 2.906(+0.31%) 32Gb 4Gx8 MLC 2.099(+0.34%) 16Gb 2Gx8 MLC 1.601(0.00%) 




 DRAM 부분은 여전히 PC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나 PC업체들의 재고조정 마무리 로 하반기 PC DRAM 계절적 수요 증가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해요. 특히, PC OEM업체들의 재고조정 마무리로 2분기부터 DRAM업체들이 PC DRAM 비중을 낮춤에 따라 DRAM 가격이 하반기부터 안정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편, 모바일 DRAM 부분은 갤럭시S7의 DRAM탑재량이 3GB에서 4GB로 증가 등으로 양호 한 흐름을 기록 중. 하반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의 재고 부담 역시 감소할 것으로 전망 됨에 따라 이와 관련 모바일 DRAM 이슈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해요. 일반적으로 반도체는 국내 수출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반도체 가격동향은 국내 산업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등락폭이 큰 경우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반도체주가에 영향을 줍니다. 


 [반도체 제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동부하이텍 [반도체 장비] 주성엔지니어링, DMS, 티에스이 프로텍, 에스에프에이 인텍플러스, 티씨케이, 탑엔지니어링 로체시스템즈, HB테크놀러지 [반도체 재료] SK머티리얼즈, 엠케이전자, 동진쎄미켐 덕산하이메탈, 네패스, 솔브레인, 한화테크윈


관련된 주식에 집중투자보다는 분산투자가 더 큰 장점이 있음을 기억하세요~

항상 성공할 순 없지만, 늘 꾸준히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