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개인적으로 국세청에 바로 접속해서 API코드를 받을 수 있는줄 알았습니다.

그게 되는 것이 IT강국 대한민국이기때문입니다. 하지만,

바로 연동이 되지는 않더군요. 연계회사를 통해서만 되게 되어있네요.

구글과 네이버에 검색을 많이 해서 ,,, '아 그렇구나'라는 것을 알았어요.

혹시 이것때문에 헤매고 있을 누군가를 위해서 글을 남겨봅니다.

 

대한민국 국세청의 전자세금계산서 API를 이용하여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세청을 유유히 바라보는 한국인 여성


국세청 연계 사업자 선택 및 가입:

국세청은 직접 API를 제공하지 않으며, 연계 사업자를 통해 API를 제공합니다. 먼저 연계 사업자(예: Bill36524, 세금계산서.kr 등)를 선택하고 가입해야 합니다.
API 연동을 위한 준비:

연계 사업자로부터 API 사용을 위한 인증키와 API 문서 등을 받아야 합니다.
해당 사업자의 가이드를 참고하여 API 호출 방식, 필요한 파라미터, 응답 형식을 숙지합니다.
개발 환경 설정:

사용하려는 프로그래밍 언어(예: Python, Java, JavaScript 등)에 맞는 개발 환경을 설정합니다.
HTTP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설치 (예: Python의 requests, JavaScript의 axios 등).
API 연동 프로그램 작성: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API 호출 코드를 작성합니다.
필수 정보 (발행자 정보, 수취자 정보, 품목 정보 등)를 포함하여 요청을 구성합니다.
테스트 및 디버깅:

연계 사업자가 제공하는 테스트 환경에서 API를 호출하여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오류 발생 시 API 문서를 참고하여 수정합니다.
웹 인터페이스 구현:

세금계산서 발행을 위한 웹 페이지를 구현합니다.
HTML, CSS, JavaScript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 입력 폼을 만듭니다.
백엔드와 연동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아 API 호출을 통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도록 합니다.
보안 및 유지보수:

API 호출 시 필요한 인증키 등을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예: 사업자 등록번호, 금액 등)가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에 신경 씁니다.
API 변경 사항이나 새로운 요구사항에 따라 프로그램을 유지보수합니다.
다음은 Python을 이용한 간단한 세금계산서 발행 API 호출 예제입니다:

python 언어로 구현하면?


import requests

# 연계 사업자에서 발급받은 인증키
api_key = 'YOUR_API_KEY'
# 연계 사업자의 API 엔드포인트
api_endpoint = 'https://api.example.com/taxinvoice'

# 세금계산서 발행 데이터
invoice_data = {
    "issuer": {
        "company_reg_no": "123-45-67890",
        "company_name": "발행자 회사명",
        "ceo_name": "발행자 대표자명",
        "address": "발행자 주소",
        "email": "발행자 이메일"
    },
    "receiver": {
        "company_reg_no": "987-65-43210",
        "company_name": "수취자 회사명",
        "ceo_name": "수취자 대표자명",
        "address": "수취자 주소",
        "email": "수취자 이메일"
    },
    "items": [
        {
            "description": "품목명",
            "quantity": 1,
            "unit_price": 100000,
            "total_amount": 100000
        }
    ],
    "issue_date": "2023-01-01",
    "total_amount": 100000,
    "tax_amount": 10000,
    "total_price": 110000
}

import requests

# 연계 사업자에서 발급받은 인증키
api_key = 'YOUR_API_KEY'
# 연계 사업자의 API 엔드포인트
api_endpoint = 'https://api.example.com/taxinvoice'

# 세금계산서 발행 데이터
invoice_data = {
    "issuer": {
        "company_reg_no": "123-45-67890",
        "company_name": "발행자 회사명",
        "ceo_name": "발행자 대표자명",
        "address": "발행자 주소",
        "email": "발행자 이메일"
    },
    "receiver": {
        "company_reg_no": "987-65-43210",
        "company_name": "수취자 회사명",
        "ceo_name": "수취자 대표자명",
        "address": "수취자 주소",
        "email": "수취자 이메일"
    },
    "items": [
        {
            "description": "품목명",
            "quantity": 1,
            "unit_price": 100000,
            "total_amount": 100000
        }
    ],
    "issue_date": "2023-01-01",
    "total_amount": 100000,
    "tax_amount": 10000,
    "total_price": 110000
}

# API 요청
response = requests.post(api_endpoint, json=invoice_data, headers={'Authorization': f'Bearer {api_key}'})

# 응답 처리
if response.status_code == 200:
    print('세금계산서 발행 성공:', response.json())
else:
    print('세금계산서 발행 실패:', response.text)



# API 요청
response = requests.post(api_endpoint, json=invoice_data, headers={'Authorization': f'Bearer {api_key}'})

# 응답 처리
if response.status_code == 200:
    print('세금계산서 발행 성공:', response.json())
else:
    print('세금계산서 발행 실패:', response.text)
위 예제는 기본적인 API 호출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실제 연계 사업자의 API 문서를 참고하여 적절히 수정해야 합니다. 웹 인터페이스와의 연동은 Flask, Django 같은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효율적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