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0월14일(현지시간) 미증시가 은행주 실적 호조 등으로 소폭 상승 마감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상승 마감했습니다.



 지수는 전일 대비 6.34(+0.79%) 상승한 809.39를 기록했습니다. 세계 최대 반도체업체인 인텔이 1.30% 상승했으며, AMD도 중국 알리바바 그룹과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관련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4.01% 상승 마감했습니다. 반도체 장비업체인 AMAT는 0.75% 상승했고, D램업체인 마이크론테크놀로지도 1.66%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 외에 아날로그디바이스, 맥심인터그레이티드, 실리콘모션테크놀로지, 테러다인, 크리, 텍사스인스트루먼트, MKS인스트루먼트, 마이크로칩, 엔비디아, ASML, 아바고테크놀로지 등 대부분 종목이상승한 가운데, NXP세미컨덕터, 사이프레스세미컨덕터, 마이크로세미 등 일부 종목만이 하락 마감했습니다. 퀄컴, 마벨테크놀로지는 보합 마감했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크게 반도체 업황과 미증시에 따라 움직이는데, 최근 뉴욕증시는 글로벌 불확실성 등이 해소되면서 상승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7월초부터 상승세를 보인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꾸준히 상승흐름을 보여 8월 중순을 지나 800선을 돌파하는 등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연준은 9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회의 직후 옐런 의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점진적인 금리 인상 전략을 고수한다며, 올해 새로운 충격이 없다면 연말에 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밝혔음. 일반적으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와 국내지수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밀접하며 특히 국내증시의 대표종목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메이저 반도체업체 등을 비롯하여 반도체 소재, 장비업체들의 주가흐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반도체 제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장비] AP시스템, 유진테크, 미래산업, 리노공업 에스티아이, 에프에스티, 이오테크닉스, 원익IPS 주성엔지니어링, 케이씨텍, 에스엔유 한미반도체, 고려반도체, 에스에프에이 [반도체 재료] 동진쎄미켐, 네패스, 솔브레인 엠케이전자, SK머티리얼즈,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