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블록체인


블록체인(block 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도 임의로 수정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입니다. 


이는 분산 데이터 저장기술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잘 알려진 블록체인의 응용 사례는 암호화폐의 거래과정을 기록하는 탈 중앙화된 전자장부로서 비트코인이 있습니다. 이 거래 기록은 의무적으로 암호화되고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상에서 운영되며 비트코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호화폐들이 블록체인 기술 형태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대규모의 노드들 사이에서 각 노드에 분산 저장된 장부의 데이터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 수렴 알고리즘으로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능력은 노드가 익명으로 실행되거나, 연결이 좋지 않거나, 심지어 신뢰할 수 없는 운영자가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게 합니다.



2) 해시와 해시값 


해시(Hash)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찾는데 사용되는 함수의 한 종류로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특정한 함수(hash function)로 처리하여 얻은 값으로 데이터의 위치를 찾는 방법이며 데이터를 찾는 속도가 데이터의 개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효율적이고 빠르게 데이터의 위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서 생성 된 암호화 된 값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들이 신뢰성과 익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원정보들을 잘게 나누어 이전의 상태를 전혀 알 수가 없는 새로운 값으로 표현해 낸 것을 ‘해시값’ 이라고 하는데 이전의 정보를 되돌릴 수 없으며 단방향 알고리즘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 신뢰성을 보장해 줍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해시값은 외부지갑으로 입출금 한 이체 거래에 발행되는 데이터를 문자열로 치환하여 나타낸 값으로 긴 숫자와 알파벳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Transaction ID(TXID)로 부르기도 합니다. 각각의 코인들은 이러한 해시값을 조회할 수 있는 블록체인 사이트를 통해서 거래의 상세 정보를 알 수가 있습니다. 


암호화폐를 채굴할 때 이 해시율을 파악하게 되는데 해시율(Hash rate)이 높을수록 난이도가 높은 가상화폐를 채굴 한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이를 풀어 나가는 속도는 해시파워로 나타냅니다. 해시파워의 단위는 해시 파워의 H/s, MH/s , GH/s , TH/s 가 있습니다.



소비자들 알권리를 위해서 좀 제대로 알아보고 기사좀 썻으면 좋겠다 대부분의 가상화폐 결제가능업소들이 현재 수수료와 전송시간때문에 운영 안하는곳이 대부분이고빗썸 키오스크사업은 지금 가상화폐 및 빗썸캐쉬로 결제안되고 현금 카드 플랫폼만 구축해논상태이다. 앞으로는 그쪽으로 가려는게 맞지만. 확실히 기업들에서 소비자의 니즈와 공급자의 마케팅수단으로 많이 보급하려 하고있지만 아직은 정부정책이라던지 일본사례쪽만 생각해봐도 아직 시기상조라 기사만큼 되고있는거아니다.

반응형
댓글